로그인 로그인 다른 페이지에서 로그아웃시 로그인 페이지로 보낼것 이기에 로그인 페이지에 오면 일단 세션을 초기화 시킨다 또한 공백으로는 로그인을 할 수 없도록 막아 놓았다. 로그인을 하면 일단 세션을 만드는 페이지로 넘어갔다가 메인 페이지로 가게 된다. 사용자가 로그인한 아이디를 값으로 하고 사용자의 세션 아이디를 이름으로 세션을 만든다. 그리고 메인 페이지로 넘어가게 된다. 로그인을 하고 넘어오면 상품을 선택해서 추가할 수있도록 하였다. 계산을 누르면 지금까지 자신이 추가한 상품을 볼 수 있는 장바구니로 가게 된다. 또한 로그아웃을 누르면 처음 로그인 페이지로 보낼 것이다. 상품선택 로그아웃 님이 로그인 한 상태 입니다. 사과 귤 파인애플 포도 배 추가 계산 현재 자신의 세션이 있는지 부터 검사하고 메..
page 1 - 정보를 받는 페이지 forward, sendRedirect 테스트 forward action : page 2 - 정보를 받아 다음 페이지로 정보를 넘김 forward를 이용해서 3번째 페이지로 정보를 넘김 page 3 - 정보를 받아 다음 페이지로 정보를 넘김 forward를 이용해서 4번째 페이지로 정보를 넘김 page 4 - 정보를 받아 화면에 띄움 foward action 및 sendRedirect() 결과 이 페이지는 page4_control에서 출력한 결과 입니다. 이름 : 전화번호 : forward를 이용하여 url은 변하지 않고 4번째 페이지에서 정보를 띄웠다.
page 1 - 정보를 받는 페이지 forward, sendRedirect 테스트 forward action : page 2 - 다음 페이지로 정보를 넘기는 페이지 sendRedirect방식 sendRedirect로 페이지를 그냥 넘기면 다음 페이지에서 값을 얻을 수없다 따라서 get방식 으로 url에 값을 붙여서 넘기면 다음 페이지가 받을 수 있다. hidden 방식 js를 이용하여 페이지가 로드 되자마자 form에 있는 값을 넘겨 버린다. page 3 - 정보를 받아서 띄우는 페이지 foward action 및 sendRedirect() 결과 이 페이지는 page_control_end에서 출력한 결과 입니다. 이름 : 전화번호 :
JSP를 이용해서 에러페이지를 제작 하였다. web.xml에 먼저 에러페이지를 위한 코드를 추가한다. 404 /error/404error.jsp 이렇게 추가하면 404에 대한 오류를 발견하면 내가 지정한 jsp를 호출하게 된다. 그리고 페이지를 만들고 404를 띄워보면 이렇게 잘 뜨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렇게 계속 추가하면 여러 에러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만들고 싶은 페이지를 만들고 똑같이 붙여 넣어 주기만 하면 된다. 다른 페이지는 띄우기가 어려워서 띄우기 쉬운 404와 500만 일단 띄워 보았다. 다른 페이지도 코드가 동일하니 만약 뜬다면 잘 뜰것이다.
1.Page scope 페이지 내에서 지역 변수 처럼 사용된다. jsp 파일에서 안에 변수를 선언하면 page 스코프로 정의되어 해당 파일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다른 영역과 다르게 page 내장 객체가 아닌 jsp 파일에 내장된 pageContext 객체를 통해 접근 가능한 영역이다. 현재 페이지에서 정보를 저장하고 다른 페이지에서는 정보가 저장될 필요가 없는 경우 사용된다. 2.Request 요청을 받아서 응답하기까지 객체가 유효한 영역이다. 가장 많이 사용된다. 페이지와 페이지 사이에 존재 하며 하나의 관계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foward나 include를 사용하면 여러 페이지에서도 요청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Servlet과 Jsp가 통신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다. 사용자가 검색어를 입력해서 데..
cmd 를 이용해서 컴파일을 할 경우 이렇게 인코딩 문제가 생길 때가 있다. 이를 해결 하기 위한 방법은 -encoding UTF-8 코드를 넣어 보는 것이다. 혹시 이래도 문제가 해결이 안된다면 UTF-8을 EUC-KR로 바꾸면 될 수도 있다. (저는 이걸로 했습니다..) 만약 jsp 파일 에서 한글이 깨진다면 이 부분에 EUC-KR로 되어있는 부분을 UTF-8로 바꾸면 될것이다. get방식 인코딩 encodeURI("인코딩할 값","UTF-8") 이런식으로 인코딩해서 보내고 java.net.URLDecoder.decode("디코딩할 값","UTF-8"); 이런식으로 디코딩해서 쓸 수 있다. 하지만 get방식으로 보내진 한글은 톰캣이 기본적으로 자동으로 한글 처리를 해주기 때문에 거의 깨지지 않는다고 ..
서블릿 매핑 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web.xml을 이용한 매핑방법 2.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매핑 방법 web.xml을 이용한 매핑 ServletTest //매핑할 이름 (서블릿 매핑의 서블릿 이름과 같아야함) ServletTest //자신의 프로젝트 클래스 이름 ServletTest// 매핑할 이름 (서블릿의 서블릿 이름과 같아야함) /test //url에 나타날 이름 이런식으로 web.xml에 코드를 추가한뒤 실행을 해보면 매핑이 잘 된것을 볼 수 있다. 어노테이션을 이용한 매핑 서블릿 파일에 @WebServlet("/mappingName") 를 추가한다. 그러면 url에 자신이 적어놓은 매핑이름으로 접속한다면 잘 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번에는 정규식을 이용하지 않고 회원가입 페이지에 유효성 검사를 하는 기능을 만들어 보았다. function check(){ var my_id = document.getElementById("my_id").value; var my_pw = document.getElementById("my_password").value; var ch_pw = document.getElementById("check_password").value; var my_email = document.getElementById("my_email").value; var my_name = document.getElementById("my_name").value; var birth = document.getElementById("bir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