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를 이용하여 저번에 만든 회원 가입 페이지에 정규식을 이용한 유효성 검사를 넣어 보았다. function check(){ var my_id = document.getElementById("my_id").value; var my_pw = document.getElementById("my_password").value; var ch_pw = document.getElementById("check_password").value; var my_email = document.getElementById("my_email").value; var my_name = document.getElementById("my_name").value; var birth = document.getElementById("birth"..
html을 이용하여 회원가입 페이지를 제작 하였다. 배경 사진과 배경음악은 본인이 원하는 걸로 바꾸어 넣으면 잘 작동한다. 코드에 유효성 검사를 위해 스크립트를 가져왔지만 페이지만 제작을 원한다면 스크립트는 없애도 무방하다. //유효성 검사를 위해 함수 추가 회원 기본 정보 아이디: 4~12자의 영문 대소문자와 숫자로만 입력 비밀번호: 4~12자의 영문 대소문자와 숫자로만 입력 비밀번호 확인: 메일주소: 예) id@domain.com 이름: 개인 신상 정보 생일: 년 1 2 3 4 5 6 7 8 9 10 11 12 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일 관심분야 컴퓨터 인터넷 여행 영화감상 음..
클라이언트가 서버와 통신을 할때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하는 것을 Requset라 하고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는 것을 Response라 한다. 서블렛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HttpServlet이라는 클래스를 상속 받아야 한다. HttpServlet은 추상 클래스 이고 Generic Servlet을 상속 받는데 이 클래스 또한 추상 클래스 이며 Generic Servlet는 Servlet과 ServletConfig라는 인터페이스를 구현 한다. 요청시에 service()가 호출되면서 요청 방식에 따라 doGet()과 doPost() 가 호출 된다. HttpServlet 메서드 protected void doDelete(HttpServletRequest requset , HttpServletR..
4XX ( 클라이언트 오류 ) : 요청의 문법이 잘못되었거나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을 때 5XX ( 서버 오류 ) : 서버가 명백히 유효한 요청에 대해 충족을 실패했을때 4XX 클라이언트 오류 ( client error responses ) 400 Bad Request (잘못된 요청) - 잘못된 요청이 오거나 유효하지 않은 요청, 변조된 요청 라우팅등을 감지해 요청을 처리할 수 없거나 하지 않는다는 의미 401 Unauthorized (권한 없음) - 접근불가로 비인증된 상태 때문에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려면 올바른 ID및 비밀번호로 로그인을 해야함을 의미한다. 402 Payment Required (결제 필요)- 결제가 필요한 리소스에 결제 없이 접근 했을 때 나타난다. 하지만 아직은 정의만 되어있고 구현..
Http http (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의 줄임말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이다. 80 포트를 사용하여 서버와 통신한다. http는 암호화 되지 않은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버와 통신하는 정보를 가로챌경우 제 3자가 볼수 있는 문제가 있다. Https https( Hyper Text Transfer Protocol Secure )의 줄임말로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이다. 443번 포트를 사용하여 서버와 통신한다. 네트워크상에서 중간에 제 3자가 정보를 볼수 없도록 암호화를 지원한다. 대칭키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를 사용한다. 대칭키 암호화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가 동일한 알고리즘이다 문서를 공..
절대경로 처음부터 해당 파일의 위치까지 경유한 모든 경로를 전부를 말한다. os가 저장된 c드라이브부터 해당파일 의 위치까지 정확하게 적는것이다. 따라서 해당 파일의 절대 경로는 한가지 밖에 없다. 컴파일 속도가 느리고, 위치가 변하면 다시 적어 주어야 한다. 상대경로 현재 위치가 기준이 되어 현재 부터 해당 파일의 위치까지의 경로를 말한다. 컴퓨터에게 상대경로로 파일을 찾아달라고 하면 컴퓨터는 이를 인지하지 못한다. 하지만 상대경로가 쓰이는 이유는 파일의 경로가 자주 바뀌는 상황이거나 os가 다른 컴퓨터에서 해당 파일을 찾는다고 가정하면 경로를 계속해서 갱신해 주어야 하는 단점 때문이다. 또한 컴파일 속도가 빠르며, 기준 폴더 부터의 경로가 바뀌지 않았다면 경로를 바꿀 필요가 없다.
세션(Session) 일정시간 동안 같은 사용자로 부터 들어오는 일련의 요구를 하나의 상태로 보고 그 상태를 유지 시키는 기술 방문자가 웹서버에 접속해 있는 상태를 하나의 단위로 보고 세션이라 한다. 세션은 서비스가 돌아가는 서버측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게견의 키값만을 클라이언트 측에 남겨놓는다. 브라우저는 필요할 때마다 이 키값을 이용하여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세션은 브라우저를 닫거나 서버에서 세션을 삭제했을때 삭제가 되어서 쿠키보다 보안이 좋다. 저장 데이터에 제한이 없다.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였을때 로그아웃을 하기 전까지 사용자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쿠키(Cookie) 사용자가 웹 사이트에 방문할 경우 그 사이트가 사용하고 있는 서버에서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작은 기..
Get 방식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정보를 요청할때 사용된다. 검색을 하거나 페이지 이동 같이 다른 사람이 훔처 보아도 상관이 없는 것들을 요청할 때에 사용된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검색을 할때에 사용된다. url끝에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가 담기게 된다. 사용자의 요청이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게 된다. 데이터 길이에 대한 제한이 있다. Post 방식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데이터를 보낼때 다른 사람이 봐서는 안될 중요한 정보가 포함 되어있거나 그 정보가 너무 길때에 사용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게시판에 긴 글을 작성할 때 사용하거나 , 정보를 지켜야하는 로그인을 할때에 사용된다. Post 데이터는 http 메세지의 body 부분에 담아서 서버로 보내기 때문에 get방식보다 보안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