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line Styling 컴포넌트 안에 style을 직접 줄려고 할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인라인 스타일에서는 중괄호가 2개 필요하다. 그이유는 첫번째 중괄호는 js코드이다 라는 뜻이며, 두번째 중괄호는 object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적는 것이다. StyleSheet Class StyleSheet으로 미리 만들어 놓은 스타일을 불러와 적용하는 방식이다. react-native에서 import를 해야한다.
Rest Operator 위의 사진처럼 add라는 함수를 호출할 때... 이용하여 파라미터값을 받기 때문에 몇 개의 값이 오든 다 받아낼 수 있다. 주의 사항으로는 맨 마지막에만 사용을 해 주어야 한다. 만약 (x, ...y, z)로 선언을 하면... 이 붙은 변수가 다 받아서 처리하기 때문에 z는 필요 없는 변수가 되어 오류가 된다. 따라서 Rest Operator를 사용하려면 맨 마지막에만 사용하여야 한다. Spread Operator 위의 그림은 arrCopt라는 배역에 arr1의 값을 저장하는 것이다. 저번에 말했다시피 Array는 Object Type이여서 주소값을 저장한다. 따라서 let arrCopy = arr1이라고 선언을 하게 된다면 arrCopy와 arr1이 참조하는 메모리 공간은 같은..
함수 선언 방법은 다양하다. function test () {return "hello"} var test = function() {return "hello"} var test = () => {return "hello"} 위의 코드가 전부 함수를 선언할 수 있는 코드이다. 나중에 test변수를 호출하여 hello를 리턴하는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함수를 선언과 동시에 호출하는 방법도 있다. var test = (function(){ return "hello" }())//함수를 선언과 동시에 실행한다. 위의 코드를 사용하면 함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실행이 된다. 따라서 test변수에는 hello를 리턴하는 함수가 들어가는게 아니라 hello자체가 들어가게 된다. (), {} 차이 var test = () =..
For/In Loop Object타입의 키값을 얻어오고 싶을 때 사용하는 반복문이다. var user = {fname:"John", Iname:"Doe", age:25} var text = "" for (const key in user){// user안에 있는 key값만 뽑아서 const key에게 넘겨준다 text += user[key] } console.log(text)// JohnDoe25 For/Of Loop Array에 있는 값을 하나하나 얻어 올때 사용한다. var user = ["John", "Doe", 25] var text = "" for(const value of user){// 값을 순서대로 하나하나 value에게 넘긴다 text += value } console.log(text)//..
primitive data type boolean, null, undefined, number, string, symbol(unique value) Pass-by-value (값을 전달함) String “” (Double quote), ‘’ (Single quote), ``(Back-tic) 으로 선언가능 `` backtic 같은 경우 ${}를 이용하여 문자열 안에 변수를 사용 가능하다. var x = "hello"// String타입 var y = new String("hello")// Object 타입 console.log(x === y)// false var z = `${x}`// back-tic을 사용하면 변수를 사용가능하다 console.log(z)// hello object data type ..
Naming Rule 문자 (대문자 소문자 한글 가능) 특수문자중 _ , $ 까지만 허용 문자 달라 언더바로만 시작하여야함 ( 숫자로 시작해서는 안됨 ) 소문자와 대문자는 엄연히 다름 예약어 불가 지역변수와 전역변수 var var는 기본적으로 전역 변수이고, 언제든지 값 재할당이 가능하며, 위에 동일한 변수명이 있어도 다시 선언이 가능하다. var x = 10 x = 20 // 재할당 가능 console.log(x)// x = 20 var x = 10// 재선언 가능 ( 위에 동일한 변수 이름이 있어도 오류가 아님 ) console.log(x)// x = 10 function test(){ var x = 30 } console.log(x)// x = 30(함수안에 선언한 var 변수를 함수 밖에서도 사용..
requirements.txt 를 만들면 다른 사람이 사용할때 패키지 설치가 편하게 만들어주는 파일이다. pip freeze > requirements.txt 이를 작성하면 requirements.txt 파일에 내가 사용한 패키지들이 전부 써지게 된다. 나중에 다른 사람에게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이 코드를 작성시키면 내가 사용한 패키지들을 한번에 설치 시킬 수 있다. 협업에서도 중요할듯 하니 꼭 작성하도록 하자!
flask를 가지고 백엔드 rest api를 만들어 보자 app.py from flask import Flask from controllers.usercontroller import user app = Flask(__name__) #기본 경로를 잡는 라우터 @app.route("/") def hello(): return "Hello World!" #/user가 앞에 붙은 상태로 오는 요청을 잡아서 userController에게 넘김 # ex) http://localhost:5000/user/login app.register_blueprint(user, url_prefix="/user") 이렇게 blueprint를 이용하여 경로에 대한 요청을 관리할 수 있다. usercontroller.py from 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