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Initaializr를 선택한다.
Java버전은 현재 자신의 버전에 맞게 선택하면된다.
( 현재 설치된 JDK 버전과 동일하거나 낮은 버전을 선택하면 된다. )
3가지만 선택해 주고 프로젝트를 생성 한다.
파일명 + Application을 보면 실행 가능한 표시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간단하게 main을 실행 시켜 보면 실행이 될 것이다.
기본적으로 8080 포트를 사용하여 실행하게 된다.
포트 에러
혹시 8080 포트가 이미 실행중이어서 위 사진처럼 에러가 뜬다면
application.properties를 열어서
server.port="원하는 포트번호" 를 적어서 다시 실행 시키면 적은 포트번호로 실행 되는걸 볼 수 있다.
만약 포트 에러가 아닌데 오류가 난다면 컴퓨터 이름이 한글이 들어가서 그럴수 있다.
Gradle은 윈도우 환경의 경우 사용자 계정 폴더 ( C:\users\계정 ) 밑에 .gradle 경로에 설치 되기 때문에
이 경로에 한글이 들어가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스프링 부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aims란? (0) | 2024.07.21 |
---|---|
카카오 소셜 로그인 구현 (0) | 2024.07.14 |
스프링 부트 단독 실행 파일 만들기 (0) | 2022.11.12 |
스프링 부트 RestController 사용해 보기 (0) | 2022.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