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7단계로 나눈것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다.
1계층 - 물리계층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해서 통신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통신 단위는 비트이다.
단지 데이터를 전달만 할뿐 전송하려는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떤 에러가 있는지는 신경 쓰지 않음
이 계층에 속하는 대표적인 장비는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등이 있다.
2계층 - 데이터 링크계층
이 계층에서는 맥 주소를 가지고 통신한다.
직접 연결된 서로 다른 2개의 네트워크 장치간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이 계층에서 전송되는 단위를 프레임이라고 하고, 대표적인 장비로는 스위치 등이 있다.
물리계층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하는 역할
기능 4가지
1. 프레임 생성 기능
데이터를 캡슐화 시켜 프레임 단위로 만들고 앞에 헤더 뒤에는 트레일러를 추가한다.
헤더에는 목적지, 출발지 주소, 데이터 내용을 정의
트레일러는 비트 에러를 감지한다.
2. 회선 제어 기능
컴퓨터 2대가 통신하는 경우 각 컴퓨터 신호간의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데이터 링크계층에서 회선을제어한다.
3. 흐름 제어 기능
컴퓨터마다 성능과 네트워크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때 속도 차이가 생기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흐름을 제어한다.
4. 오류 제어 기능
전송도중 문제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탐지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3계층 - 네트워크 계층
경로를 선택하고 경로에 따라 패킷을 전달해주는 것이 역할이다.
IP주소를 사용한다.
네트워크 계층의 데이터를 패킷이라 한다.
주요역할
패킷전달 - 종단간의 패킷전달을 수행
라우팅 - 종단간 패킷을 전송할 때, 라우팅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논리적인 주소사용 - IP주소를 사용하여 사용자 데이터를 목적지 장치까지 전달
전송계층으로 부터 받은 데이터에 송수신 장치의 IP 주소들을 포함하는 IP 프로토콜 헤더를 붙여 캡슐화를 수행한 후 패킷을 전송.
4계층 - 전송계층
다른 호스트들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들 간의 논리적 통신을 제공한다.
트렌스포트 프로토콜은 종단시스템에서 구형되어 기능을 제공한다.
송신자는 메세지를 세그먼트로 분할한후 네트워크로 전달한다.
수신자는 세그먼트들을 재결합하여 메세지로 만든후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전달한다.
프로세스간의 논리적 통신을 위한 계층이며
네트워크 계층 서비스에 의존한다.
포트번호를 이용하며 전송방식(TCP/UDP)을 결정한다.
5계층 - 세션 계층
응용프로그램간의 연결을 성립하게 하고 연결이 안정되게 유지관리하며 작업 완료후 연결을 끊는 역할을 담당한다.
연결 세션에서 데이터 교환 에러 발생시 복구를 관리하는 계층을 말한다.
세션 계층 이상에서 송수신 하는 데이터의 단위를 메세지라고 한다.
여러 세션들이 효율을 높이기 위해 1개의 전송계층을 접속 할 수 있고
1개의 세션이 속도 등을 위해 다수의 전송계층 접속들을 사용할 수 있다
세션계층은 토큰을 사용함으로써 대화를 관리한다
전송시에 동기점을 삽입함으로써 메세지를 대화하고
에러 발생하면 중단된 대화 단위의 처음부터 전송을 다시 시작
6계층 - 표현 계층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결정한다.
데이터 표현이 상이한 응용 프로세스의 독립성을 제공하고, 암호화 한다.
코드간의 번역을 담당하여 사용자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형식상 차이를 다루는 부담을 응용계층으로 부터 덜어준다.
MIME 인코딩이나 암호화가 이루어짐
7계층 - 응용계층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 관계하여 일반적인 응용 서비스를 수행하는 계층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계층이다.
'자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쿠키와 세션 (0) | 2022.09.04 |
---|---|
Get 과 Post 방식 (0) | 2022.09.04 |
서버와 클라이언트 1대1 통신 (유니캐스트) (0) | 2022.09.03 |
리뷰 남기기 (0) | 2022.09.01 |
네이버 뉴스 크롤링 (0) | 2022.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