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수나 메서드 이름을 짓다보면 두 단어 이상을 조합해야 할 때가 오는데 이때 두단어를 조합할떄 쓰는 표기식들이다.
카멜 케이스(Camel Case)
낙타 모양과 같이 표기하는 방법이다.
처음 단어를 소문자 다음에 오는 단어들의 첫문자만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first name과 last name을 카멜식으로 표기하면 firstName, lastName이 된다.
파스칼 케이스(Pascal Case)
카멜케이스와 매우 유사하다.
다른 점은 처음 단어의 첫문자 까지 대문자로 표기하는 것이다.
first name 과 last name을 파스칼식으로 표기하면 FirstName, LastName이 된다.
스네이크 케이스(Snake Case)
뱀의 모양처럼 표기하는 방식이다.
처음 단어와 다음에 오는 단어들을 언더바("_")로 이어서 표기하는 방식이다.
first name과 last name을 스네이크식으로 표기하면 first_name, last_name이 된다.
케밥 케이스(Kebab Case)
케밥의 꼬치 모양처럼 표기하는 방식이다.
처음 단어와 다음에 오는 단어들을 하이픈("-")으로 이어서 표기하는 방식이다.
first name과 last name을 케밥식으로 표기하면 first-name, last-name이 된다.
변수나 메서드 이름을 짓다보면 두 단어 이상을 조합해야 할 때가 오는데 이때 두단어를 조합할떄 쓰는 표기식들이다.
카멜 케이스(Camel Case)
낙타 모양과 같이 표기하는 방법이다.
처음 단어를 소문자 다음에 오는 단어들의 첫문자만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first name과 last name을 카멜식으로 표기하면 firstName, lastName이 된다.
파스칼 케이스(Pascal Case)
카멜케이스와 매우 유사하다.
다른 점은 처음 단어의 첫문자 까지 대문자로 표기하는 것이다.
first name 과 last name을 파스칼식으로 표기하면 FirstName, LastName이 된다.
스네이크 케이스(Snake Case)
뱀의 모양처럼 표기하는 방식이다.
처음 단어와 다음에 오는 단어들을 언더바("_")로 이어서 표기하는 방식이다.
first name과 last name을 스네이크식으로 표기하면 first_name, last_name이 된다.
케밥 케이스(Kebab Case)
케밥의 꼬치 모양처럼 표기하는 방식이다.
처음 단어와 다음에 오는 단어들을 하이픈("-")으로 이어서 표기하는 방식이다.
first name과 last name을 케밥식으로 표기하면 first-name, last-name이 된다.